안녕하세욥!
이번엔 프
리도스 PC/노트북과 WINDOWS10 구입의 여러 종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프리도스 노트북을 사용하실 예정이라면, 자신에게 적합한 운영체제 설치 방법을 알고 그에 따른 예산 책정도 동반되어야 합니다. 각 방법에 따라 번거로움의 정도가 다르고, 금액의 차이가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운영체제 구입방법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프리도스(Free Dos)는 운영체제가 들어있지 않은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을 지칭합니다.
lg베스트샵이나 삼성전자 등에서 pc를 구입할 경우엔 기본적으로 pc에 운영체제가 깔려있습니다. 만약, 인터넷을 통하여 pc를 구입하신다면, 운영체제는 선택사항이 됩니다. 운영체제가 깔려있는 버전으로 살 수 도 있고, 없는 상태로 살수도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가격인데요, 윈도우10 home 버전만 하더라도 dsp로 구입시 12만원 가량의 추가요금이 붙습니다. 낮은 가격으로 보이게 해서 제품을 팔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최저가들은 운영체제가 미포함 상태입니다. 노트북 사시는 경우, FPP, DSP ESD 등을 참고하시고 자신에게 맞는 상태의 노트북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FPP는 Full Package Product로 보통 처음 사용자용으로 알려져있습니다.
FPP의 특징은 USB상태의 윈도우10 운영체제를 받을 수 있다는 건데 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에 귀속 되지 않습니다. 하나의 USB로 여러 PC의 운영체제를 깔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PC에만 설치할 수 있지만, PC를 바꿀 경우 기존의 PC의 운영체제를 빼서 구입한 PC에 넣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한데,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을 중고로 팔 경우 운영체제가 없는 초기 상태로 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USB 상태로 온다는 것도 큰 메리트인데, DSP를 구입하여 윈도우10을 깔려고 하면 부팅USB를 만들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초보자들에겐 USB만 연결하면 되니 굉장히 쉬운 방법입니다. 윈도우를 자신의 것으로 갖을 수 있어서 좋지만, DSP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다른 방법에 비해서도 비쌉니다. 구성품은 usb와 라이센스키, 설명서입니다.
ESD는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입니다.
FPP와 비슷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10을 ESD로 구입하게 되면 USB 등 패키지가 없습니다. 대신 온라인 상(마소에 등록된 이메일)으로 라이센스키를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윈도우 설치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업그레이드를 바로 하지 않고 하드디스크 포맷 후 하려고 하신다면, FPP와 달리 USB가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부팅USB를 따로 만들어야 합니다. 가격은 FPP에 비해 4만원 정도 저렴합니다.
DSP는 Delivery Servie Pack입니다.
DSP는 라이센스키만 들어있습니다. 또한, FPP와 달리 라이센스키를 인증한 하드웨어에 귀속되기 때문에 PC교체나 업그레이드가 있을 경우 라이센스키는 쓸모 없는 것이 됩니다. 가격은 FPP에 비해서 3만원 가량 저렴한데, 해당 PC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구매한 윈도우10은 용도가 끝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PC를 자주 바꾸시는 분들은 DSP 보다는 FPP가 유용합니다. DSP의 경우 라이센스 키만 있기 때문에 윈도우10 설치를 위해 부팅 USB를 만들어야 한다는 번거로움 또한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pc를 구입하게 되면 프리도스 상태에서 FPP나 DSP 중에서 운영체제를 고를 수 있게 되는데, dsp 미설치로 사는 것이 운영체제 구입를 함께 구입하고자 할 때 가장 쌉니다.
OEM은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의 약자입니다.
브랜드 점포에 방문하여 pc를 구입하게 되면 운영체제가 깔린 상태로 받게 되는데 이 때의 운영체제가 OEM방식으로 설치된 것입니다. LG나 삼성과 같은 기업에서 대량으로 구매하는 방법으로 일반 개인들이 구매하기에는 적합하지않습니다.
추천 운영체제 설치방법
1.잦은 PC교체나 자신만의 라이센스키가 있었으면 좋겠다 하는 분들은 FPP나 DSP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그 중에서도 자신은 부팅USB, 운영체제, 이런거 다 뭔지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 은 FPP 방식을 통해 USB로 간편하게 윈도우를 설치하면 되겠습니다.
2.라이센스키에 미련 없거나 PC를 오래 사용하실 분 혹은 운영체제 비용이 부담된다 하시는 분들은 DSP를 싼 가격의 DSP를 추천드리겠습니다.
3.진짜 아무것도 모르겠고 돈 좀 더주고 바로 쓸 수 있는 윈도우 달린 제품을 사고싶다 하시는 분들은 브랜드 점포를 통해 OEM 방식으로 운영체제가 깔려있는 PC를 구매하시면 됩니다.
다음 포스팅은 윈도우10 HOME FPP 설치방법입니다. FPP로 설치하시려는 분들 참고하세용!